조제프 뒤크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제프 뒤크뢰는 18세기 프랑스의 초상화가로, 특히 독특한 자화상으로 유명하다. 낭시에서 태어나 파스텔 화가 모리스 캉탱 드 라 투르의 제자로 초상화를 배웠으며, 마리 앙투아네트의 초상화를 그려 '여왕의 수석 화가' 칭호를 받았다. 프랑스 혁명 시기에는 런던으로 건너가 루이 16세의 마지막 초상화를 그렸으며, 이후 파리로 돌아와 예술가들과 교류했다. 그의 자화상은 골상학에 대한 관심과 네덜란드 황금 시대 회화의 트로니, 프란츠 자버 메세르슈미트의 조각과 유사성을 보이며, 특히 '조롱하는 모습의 예술가 초상'은 인터넷 밈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남작 - 몽테스키외
몽테스키외는 프랑스 계몽주의 시대의 사상가로, 법학 연구에 기여하고 《법의 정신》을 통해 삼권 분립 사상을 제시했으며, 사회학의 아버지로 여겨진다. - 프랑스의 남작 - 피에르 드 쿠베르탱
피에르 드 쿠베르탱은 근대 올림픽을 창시하고 국제 올림픽 위원회를 설립하여 아테네 올림픽 개최를 이끌었으나, 아마추어리즘 강조, 여성 스포츠 폄하, 나치 협력 등 논란도 있는 프랑스의 교육자이자 역사가이다. - 1735년 출생 - 존 애덤스
존 애덤스는 미국의 제2대 대통령이자 건국의 아버지 중 한 명으로, 미국 독립 혁명 시기 독립 운동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독립 후에는 외교관, 부통령을 거쳐 대통령으로 재임하며 프랑스와의 준전쟁 해결, 해군 창설 등의 업적을 남겼다. - 1735년 출생 - 심이지 (1735년)
심이지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호조판서, 판중추부사, 우의정을 역임했으며, 영조와 정조 시대에 사간원 헌납, 홍문관 부수찬, 암행어사 등을 거쳐 청나라 사행 중 사망 후 우의정으로 추증되었다. - 1802년 사망 - 쇼온왕
쇼온왕은 류큐 왕국 제2쇼씨 왕조의 18대 국왕으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교육 진흥과 대외 관계 유지에 힘썼으나 요절하였다. - 1802년 사망 - 알렉산드르 라디셰프
알렉산드르 라디셰프는 18세기 러시아 계몽주의 사상가이자 작가로, 농노제와 전제정치를 비판하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모스크바까지의 여행』을 출판하여 사형 선고 후 시베리아로 유배되었으나, 귀환 후 잠시 법 개정에 참여하다 자살했으며, 그의 저서는 러시아 사회 개혁과 후대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조제프 뒤크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출생 이름 | 조제프 뒤크뢰 |
| 출생 | 1735년 6월 26일 |
| 출생지 | 낭시, 로렌 공국 |
| 사망 | 1802년 7월 24일 (67세) |
| 사망 장소 | 파리와 생드니 사이 (프랑스) |
| 국적 | 로렌, 프랑스 |
| 분야 | 초상화 |
| 수상 | 왕비의 수석 화가 |
| 상세 정보 | |
| 활동 시기 | 1760년 - 1790년 |
| 스타일 | 신고전주의 |
2. 생애와 경력
조제프 뒤크뢰는 낭시에서 태어나 화가였던 아버지에게서 그림을 배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1760년 파리로 가 모리스 캉탱 드 라 투르의 제자가 되었고, 장바티스트 그뢰즈에게서 유화 기법을 배웠다.[1] 1769년 빈으로 가 마리 앙투아네트의 초상화를 그려 남작 작위와 '여왕의 수석 화가' 직함을 얻었다.[1]
프랑스 혁명 발발 후 런던으로 가 루이 16세의 마지막 초상화를 그렸다.[2] 이후 자크 루이 다비드의 도움으로 파리로 돌아와 경력을 이어갔으며, 그의 저택은 예술가들의 살롱이 되었다.[3] 1802년 파리에서 생드니로 가던 중 사망했다.[4] 그의 자녀 중 장남 쥘은 제마프 전투에서 사망했고, 장녀 로즈 아델라이드 뒤크뢰 등은 화가가 되었다.[3]
2. 1. 초기 생애
낭시에서 태어난 뒤크뢰는 화가였던 아버지에게서 훈련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1760년 파리로 간 뒤크뢰는 초상화를 전문으로 하는 파스텔 화가 모리스 캉탱 드 라 투르의 유일한 제자로서 훈련을 받았다. 장바티스트 그뢰즈는 뒤크뢰의 유화 기법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1]1769년, 뒤크뢰는 빈으로 보내져 1770년 루이 16세와 결혼하기 위해 도시를 떠나기 전 마리 앙투아네트의 미니어처 초상화를 그렸다. 뒤크뢰는 이 공로로 남작 작위를 받았고, "여왕의 수석 화가"가 되었다. 뒤크뢰는 1648년에 설립된 왕립 회화 조각 아카데미의 회원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마리 앙투아네트로부터 이 직책에 임명되었다. 아카데미는 엄격한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수석 화가", "정규 화가" 및 "감독관" 또는 "왕립 공장 검찰관"의 직위는 관례적으로 아카데미 회원에게 할당되었다.
2. 2. 궁정 화가 시절

1769년, 뒤크뢰는 빈으로 보내져 마리 앙투아네트가 1770년 도시를 떠나 루이 16세와 결혼하기 전에 그녀의 초상화를 그렸다.[1] 뒤크뢰는 이 공로로 남작 작위를 받았고, "여왕의 수석 화가"가 되었다.[1] 뒤크뢰는 1648년에 설립된 왕립 회화 조각 아카데미의 회원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마리 앙투아네트로부터 이 직책을 받았다.[1] 아카데미는 엄격한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수석 화가", "정규 화가", "감독관" 또는 "왕립 공장 검찰관" 직위는 관례적으로 아카데미 회원에게 할당되었다.[1]
2. 3. 프랑스 혁명과 그 이후
프랑스 혁명이 발발하자 뒤크뢰는 런던으로 여행을 떠났다. 그곳에서 그는 국왕 처형 전에 루이 16세의 마지막 초상화를 그렸다.[2]1793년 뒤크뢰가 파리로 돌아왔을 때 자크 루이 다비드는 그의 동료 중 한 명이 되었다. 다비드는 뒤크뢰가 공식적인 경력을 이어갈 수 있도록 도왔다. 뒤크뢰의 저택은 예술가와 음악가들을 위한 비공식적인 살롱이 되었고, 그들은 그에게 초상화를 의뢰했다. 이 음악가 중 한 명은 그의 친구 에티엔 메울이었는데, 그는 그의 오페라 중 하나의 주인공을 뒤크뢰를 모델로 삼았다고 한다.
2. 4. 죽음
자크 루이 다비드는 1793년 뒤크뢰가 파리로 돌아왔을 때 그의 동료 중 한 명이 되었다. 다비드는 뒤크뢰가 공식적인 경력을 이어갈 수 있도록 도왔다.[3] 뒤크뢰의 저택은 예술가와 음악가들을 위한 비공식적인 살롱이 되었고, 그들은 그에게 초상화를 의뢰했다. 이 음악가 중 한 명은 그의 친구 에티엔 메울이었는데, 그는 그의 오페라 중 하나의 주인공을 뒤크뢰를 모델로 삼았다고 한다.뒤크뢰는 많은 자녀를 두었다. 그의 장남 쥘은 화가이자 보병 대위였으며, 제마프 전투에서 사망했다. 그의 그림 중 일부가 아직 존재한다. 그의 다른 아들들은 일찍 죽었다. 그의 장녀 로즈 아델라이드 뒤크뢰와 그의 딸 앙투아네트 클레망스 역시 화가가 되었다.[3]
뒤크뢰는 1802년 7월 24일, 파리에서 생드니로 걸어가던 중 졸도로 사망했다.[4]
2. 5. 가족
뒤크뢰는 여러 자녀를 두었다. 그의 장남 쥘은 화가이자 보병 대위였으며, 제마프 전투에서 사망했다. 쥘의 그림 중 일부는 현재까지 남아있다. 뒤크뢰의 다른 아들들은 일찍 사망했다. 그의 장녀 로즈 아델라이드 뒤크뢰와 딸 안투아네트 클레망스 역시 화가였다.[3]3. 작품 활동
뒤크뢰는 초상화에 주력했으며, 파스텔로 피에르-장 마리에트, 카위뤼 백작, 앙주-로랑 드 라 리브 드 쥘리 등의 초기 초상화를 여럿 완성했다. 이 작품들은 모리스 캉탱 드 라 투르의 작품을 모사한 것일 수 있다. 1760년부터 작품 목록을 작성했지만 서명은 거의 하지 않아, 다른 예술가의 작품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피에르 쇼데를로 드 라클로, 마리아 테레지아, 루이 16세, 마리 앙투아네트 등의 초상화를 그렸으며, 1780년대와 1790년대에는 여러 자화상을 제작했다. 그중에는 1783년경 큰 하품을 하는 자신의 모습을 그린 작품(게티 센터 소장)[5]과 ''조롱하는 모습의 예술가 자화상''(Portrait de l'artiste sous les traits d'un moqueur, c. 1793, 루브르 박물관 소장)[6]이 유명하다.
3. 1. 초상화
뒤크뢰는 초상화에 특화되어 있었다. 그는 감정가인 피에르-장 마리에트, 카위뤼 백작, 앙주-로랑 드 라 리브 드 쥘리의 초상화를 포함하여 파스텔로 초기 초상화를 완성했다. 이 작품들은 모리스 캉탱 드 라 투르의 모사본일 수 있다. 뒤크뢰는 1760년부터 자신의 작품을 목록 형식으로 정리했지만, 그림에 서명하는 경우는 드물었다. 따라서 그의 작품 중 상당수가 다른 예술가들의 작품으로 잘못 귀속되어 있다.뒤크뢰의 다른 초상화로는 피에르 쇼데를로 드 라클로와 마리아 테레지아의 초상화뿐만 아니라 루이 16세와 마리 앙투아네트의 초상화가 있다. 뒤크뢰는 또한 1780년대와 1790년대에 여러 유명한 자화상을 제작했는데, 그중 하나는 1783년에 그가 큰 하품을 하는 모습을 그린 작품이다(게티 센터, 로스앤젤레스).[5] 또 다른 작품인 ''Portrait de l'artiste sous les traits d'un moqueur''(c. 1793, 루브르 박물관)에서 예술가는 조롱하며 관람객을 가리키고 있다.[6]


이러한 자화상을 통해 뒤크뢰는 전통적인 초상화의 제약에서 벗어나려 했다. 사람의 외모, 특히 얼굴의 모양과 선이 그들의 내면적 성격을 드러낼 수 있다는 믿음인 골상학에 대한 그의 관심은 그가 따뜻하고 개성적인 작품을 만드는 데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그의 초상화 ''르 디스크레''(c. 1790)는 입에 손가락을 대고 침묵을 요구하며 조심성이나 신중함을 요구하는 듯한 표정을 짓는 남자를 묘사하고 있다.[7]
이러한 초상화는 기이한 신체 언어와 외모를 통해 네덜란드 황금 시대 회화의 생동감 넘치는 트로니와 동시대 오스트리아 조각가인 프란츠 자버 메세르슈미트(1736–1783)의 "성격 두상"과 유사하며, 그의 일부 흉상은 극단적인 표정을 한 자화상이었다.
3. 2. 독특한 자화상
뒤크뢰는 1780년대와 1790년대에 여러 유명한 자화상을 제작했는데, 그중 하나는 1783년에 그가 큰 하품을 하는 모습을 그린 작품이다(게티 센터, 로스앤젤레스).[5] 또 다른 작품인 ''Portrait de l'artiste sous les traits d'un moqueur''(c. 1793, 루브르 박물관)에서 예술가는 조롱하며 관람객을 가리키고 있다.[6]
이러한 자화상을 통해 뒤크뢰는 전통적인 초상화의 제약에서 벗어나려 했다. 사람의 외모, 특히 얼굴의 모양과 선이 그들의 내면적 성격을 드러낼 수 있다는 믿음인 골상학에 대한 그의 관심은 그가 따뜻하고 개성적인 작품을 만드는 데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그의 초상화 ''르 디스크레''(c. 1790)는 입에 손가락을 대고 침묵을 요구하며 조심성이나 신중함을 요구하는 듯한 표정을 짓는 남자를 묘사하고 있다.[7]
이러한 초상화는 기이한 신체 언어와 외모를 통해 네덜란드 황금 시대 회화의 생동감 넘치는 트로니와 동시대 오스트리아 조각가인 프란츠 자버 메세르슈미트(1736–1783)의 "성격 두상"과 유사하며, 그의 일부 흉상은 극단적인 표정을 한 자화상이었다.
뒤크뢰의 자화상은 랩, 팝송, 인터넷 구절 등과 조합되어 인터넷 밈으로서 인터넷 상에서 재미있게 가공되고 있다.[10]
3. 3. 골상학의 영향
뒤크뢰는 전통적인 초상화의 제약에서 벗어나려 했다. 사람의 외모, 특히 얼굴의 모양과 선이 그들의 내면적 성격을 드러낼 수 있다는 믿음인 골상학에 대한 그의 관심은 그가 따뜻하고 개성적인 작품을 만드는 데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그의 초상화 ''르 디스크레''(c. 1790)는 입에 손가락을 대고 침묵을 요구하며 조심성이나 신중함을 요구하는 듯한 표정을 짓는 남자를 묘사하고 있다.[7]이러한 초상화는 기이한 신체 언어와 외모를 통해 네덜란드 황금 시대 회화의 생동감 넘치는 트로니와 동시대 오스트리아 조각가인 프란츠 자버 메세르슈미트(1736–1783)의 "성격 두상"과 유사하며, 그의 일부 흉상은 극단적인 표정을 한 자화상이었다.
3. 4. 트로니와의 유사성
뒤크뢰의 자화상은 전통적인 초상화의 제약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를 보여준다. 그의 초상화 ''르 디스크레''(c. 1790)는 입에 손가락을 대고 침묵을 요구하며 조심성이나 신중함을 나타내는 듯한 남자를 묘사하고 있다.[7] 이러한 초상화들은 기이한 신체 언어와 외모를 통해 네덜란드 황금 시대 회화의 생동감 넘치는 트로니와 동시대 오스트리아 조각가인 프란츠 자버 메세르슈미트(1736–1783)의 "성격 두상"과 유사성을 보인다. 메세르슈미트의 흉상 중 일부는 극단적인 표정을 한 자화상이었다.4. 인터넷 밈
뒤크뢰의 자화상 ''조롱하는 모습의 예술가 초상'' 복제품은 2000년대 후반과 2010년대 초반에 인터넷 밈의 일부로 인터넷에서 인기를 얻었다. 이 밈에서는 랩 음악과 팝 음악의 가사, 흔한 인터넷 문구 및 유사한 표현들이 장황하고 어색하거나 가짜 고풍스러운 영어로 바꾸어 초상화 위에 겹쳐서 이미지 매크로를 만들었다.[8] 뒤크뢰의 자화상은 랩, 팝송, 인터넷 구절 등과 조합되어 인터넷 상에서 재미있게 가공되고 있다.[10]
5.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Joseph Ducreux
http://www.getty.edu[...]
The J. Paul Getty Museum
2011-05-19
[2]
웹사이트
Louis XVI
http://www.safran-ar[...]
2010-11-27
[3]
PDF
Profile of Antoinette-Clémence Ducreux
http://www.pastellis[...]
[4]
웹사이트
Dictionary of pastellists before 1800
http://www.pastellis[...]
2024-09-09
[5]
웹사이트
Joseph Ducreux
http://www.getty.edu[...]
2010-11-27
[6]
웹사이트
Portrait de l'artiste sous les traits d'un moqueur
http://cartelen.louv[...]
2010-11-27
[7]
웹사이트
European & American Art
http://www.spencerar[...]
2010-11-27
[8]
웹사이트
Vanishing Point (Your Memes Reviewed): The Joseph Ducreux Self-Portrait
http://www.theawl.co[...]
2011-05-15
[9]
웹사이트
Louis XVI
http://www.safran-ar[...]
2010-11-27
[10]
웹사이트
Vanishing Point (Your Memes Reviewed): The Joseph Ducreux Self-Portrait
http://www.theawl.co[...]
2011-05-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